코스피 5천 가능할까? 김현준 대표의 전망 정리

최근 한국 증시는 활황세를 보이며 많은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피 지수가 4천에 근접하며 "5천 시대"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부읽남TV에 출연한 김현준 대표는 이 같은 흐름에 대해 어떻게 분석했을까요? 경제 회복 흐름, 정부 정책, 그리고 주식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지금은 "과열"이 아니라 "회복 중"

김 대표는 현재 한국 주식시장을 과열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주가는 상승했지만 이는 지난 3년간의 침체를 회복하는 과정일 뿐이며, 오히려 아직은 본격적인 자금 유입이 이뤄지지 않은 ‘초입 단계’로 판단합니다.

    - 삼성전자·하이닉스가 주도한 상승이 전체 지수 상승의 대부분을 차지

    - 경기 민감주, 산업재 등의 본격 반등은 아직 시작되지 않음

    - 일반 개인 투자자들의 복귀는 아직도 저조 → 과열 신호 아님

✅ 2. 미국보다 더 강한 회복세 가능성?

김 대표는 한국 경제가 미국보다 더 강한 회복 흐름을 보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구조적인 차이 때문입니다.

    - 미국: 빅테크 중심 → 필수소비재 성격, 경기 민감도 낮음

    - 한국: 반도체, 경기 민감 산업 비중 높음 → 경제 좋아지면 더 빠르게 반응

    - 2022~2024년 경기 저점 이후 이제는 회복 국면 진입

✅ 3. PBR 1배도 못 넘는 한국 시장, 아직 저평가?

PBR(주가순자산비율)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은 여전히 글로벌 대비 ‘저평가’ 상태입니다.

    - 미국: 평균 PBR 3~4배

    - 일본: 1.5~2배

    - 중국: 1.2~1.3배

    - 한국: 0.9배 수준

    → 단순 비교만으로도 30% 상승 여력 존재

즉,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만으로도 코스피 5천은 가능한 시나리오라는 분석입니다.

✅ 4. 정부의 정책 변화, 진심인가?

현 정부는 주식시장에 대해 역대급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 대주주 횡포 견제, 주가 조작 강력 대응

    - 금융세제 완화, 기업 지배구조 개선

    - K-스탁마켓, 코리아 프리미엄 등 주식시장 브랜드화

이러한 정책이 꾸준히 이어진다면 센티멘트(시장 심리)와 펀더멘털(기업 가치) 두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 5. 코스피 5천, 가능성은?

김 대표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코스피 5천을 전망합니다.

    1. 펀더멘털 상승: 반도체 호황 + 경기 회복 → 산업 전반 주가 상승

    2. 센티멘트 개선: 디스카운트 해소 + 정책 신뢰 회복 → 외국인 자금 유입 확대

단순 계산으로도:

- 현재 지수 4천 + PBR 정상화(30% 상승) = 5,200 도달 가능

✅ 6. 마지막 조언: 지금은 장기 투자의 기회

지금은 과열이 아니라 기회라는 것이 김 대표의 핵심 메시지입니다.

    - 경제가 좋아질 것을 보고 선제적으로 투자해야 큰 수익 가능

    - 과거처럼 좋을 때 들어오면 늦는다

    - 미국처럼 장기 투자 문화 정착 필요

✅ 마무리

지금 한국 주식 시장은 과거와는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구조적인 변화를 겪는 초기 단계입니다. 단기적인 시세 차익에 급급하기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을 신뢰하고 투자에 임한다면 진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